1. ~고 싶다
用连接词尾“-고”连接本动词和“싶다”。“나는 학교에 가다”+“-고”+“싶다” → “나는 학교에 가고 싶다.”不能用于状态动词和“-이다”动词。
主语希望出现本动词的动作或状态。它是表示愿望的补助动词。
主语是第一人称的时候只用陈述形,主语是第二人称的时候只用疑问形。主语不能是第三人称。
나는 예뻐지고 싶다.
我想变漂亮。
너는 뭐가 먹고 싶니?
你想吃什么?
빨리 떠나고 싶은데 일이 끝나지를 않는군요.
想快点儿离开,但事情还没有结束。
说话人从客观的角度或从其他人的角度叙说时,可以不受一、二人称的限制。
나는 그 때 하숙을 옮기고 싶어했지요.
我那时想换个寄宿的地方。
사실은 어렸을 때 나는 군인이 되고 싶어했었다.
其实小的时候我想当军人。
그 당시 너는 대학에 진학하고 싶지 않았다.
当时你不想上大学。
2. ~고 있다
连接词尾“-고”和动词“있다”构成的结合形。与动作动词连接使用。时制词尾不用在“-고”前面,而是用在“있”后面。在韩国语中,因为现在时制就可以表示动作的进行,所以当说话人不是特别要表达动作正在进行的时候一般不用“-고 있다”。
表示“动作正在进行”或“行为的持续”、“结果状态的持续”等。
单纯地表示动作正在进行
아줌마는 빨래를 하고 있습니다.
大婶正在洗衣服。
너 뭘 하고 있니?
你在干什么?
如果主语是尊敬的对象,用“-고 계시다”。
부장님은 서류를 검토하고 계십니다.
部长正在检查文件。
할머니는 뭘 하고 계세요?
奶奶在干什么?
【表示行为的持续】根据动作的性质或者上下文来表示。
그는 대학을 졸업하고 은행에 다니고 있다.
他大学毕业后在银行上班。
김 선생은 요사이 책을 쓰고 있다.
金老师最近在写书。
表示动作的结果或状态持续。
영이는 예쁜 옷을 입고 있다.
英穿着漂亮的衣服。
철수는 지금 한국행 비행기를 타고 있다.
哲洙正坐在开往首尔的飞机上。
3. ~고
用于动作动词、状态动词、“-이다”动词后,连接前一动词和后一动词或连接前半句和后半句。“준수는 학교에 갔다”+“-고”+“영수는 회사에 갔다” → “준수는 학교에 가고 영수는 회사에 갔다”;“혜리는 착하다”+“-고”+“혜리는 예쁘다” → “혜리는 착하고 예쁘다”。
表示罗列。罗列可以分为单纯罗列、表示同时的空间罗列和表示时间顺序的顺次罗列。
【空间罗列】用于动作动词和状态动词后。表示平等罗列几个事实,前半句和后半句互换语序句子意思不变。使用时制词尾时,如果前半句和后半句的时制相同,则前半句中的时制词尾省略,只在后半句中使用。
주말에는 빨래를 하고 방 정리를 합니다.
周末洗衣服并整理房间。
언니는 회사로 가고 나는 학교로 갔어요.
姐姐去了公司,我去了学校。
【顺次罗列】表示时间上的顺序,只和动作动词连接使用。前半句和后半句的主语应一致。“-고”前面不能使用时制词尾,前半句和后半句不能替换。
【先发生的动作为前半句,后发生的动作为后半句】按照句子的内容,前半句可以成为后半句的原因或理由,这时它可以和“-고서”或“-고 나서”互换。
숙제를 하고 놀아요.
写完作业玩儿。
먼저 전화를 하고 찾아 뵙지요.
先打电话,再去拜访吧。
【维持前一动词的状态或结果,同时进行后一动作】表示手段或方式。它可以和“-고서”互换。
옷을 그냥 입고 자요?
穿着衣服睡觉吗?
그들은 술을 마시고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떠들었습니다.
他们喝着酒,不知闹了多长时间。
【强调表示看到前一动作,就必定出现后一动作】为了表示强调,经常用疑问形。
이렇게 늦은 시간에 들어오고 야단을 안 맞을 줄 알았니?
这么晚回来,你以为会不挨训吗?
한국말을 모르고 한국인의 정서를 알 수 없다.
不懂韩国语,就不能理解韩国人的思想和情感。
【含蓄地省略后半句,以疑问句形式表达】对对方的话提出异议或否认。
가: 나 심부를 안 할 거야.
가: 我可不去跑腿儿。
나: 심부를 안 하면 누가 용돈을 주고? (안 주지.)
不跑腿儿谁给你零用钱?(当然不会给你。)
【罗列各种事实,意思递进】与动词结合,表示“不管......还是,无论……还是”,用作“-고 -고”的形式。
현금이고 수표고 돈은 다 가지고 도망갔어요.
无论是现金还是支票,所有的钱都被洗劫一空。
신문이고 잡지고 읽을 만한 것은 전부 부쳐 주십시오.
不管是报纸还是杂志,可以读的都给我寄来吧。
【罗列相反的事物】只用于意义相反的一对动作动词或状态动词。“-고”前面动词的时制为现在时。
싸고 비싼 것은 상관 않겠어요.
贵贱都没有关系。
위급한 상황에서 지위의 높고 낮음을 가릴 수 없었다.
在危险的情况下,不分地位的高低。
【用作连接本动词和补助动词的连接词尾】与“-고”结合的补助词有“-고 있다, -고 싶다, -고 나다, -고 말다, -고 들다”等。